제 목 |
[조선일보] 중장년의 눈건강 위기 녹내장 정기적 '안저검사'로 실명 예방할 수 있다
|
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세란안과 | 작성일 | 19-05-29 10:30 | 조회 | 1673 |
중장년의 눈건강 위기 녹내장 정기적 '안저검사'로 실명 예방할 수 있다 조선일보 이윤경 Doctors + 기자
입력 2019.05.20 14:22 | 수정 2019.05.24 13:44 11년간 녹내장 발생률 1.2%서 1.8%로 증가 74%가 녹내장인지 몰라
인천에 사는 49세 직장인 김명호(가명) 씨는 석 달 전 길을 걷다가 오른쪽에서 다가오는 자전거와 부딪혀 넘어지면서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다. 최근 들어 사무실에서 앉아있을 때도 우측에서 오는 사람과 부딪히거나 오른쪽에 있는 물체를 뒤늦게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 병원에 온 김에 평형감각에 무슨 이상이 있는지 검사해 보았다. 신경과 전문의로부터 특별한 이상이 없다는 소견을 들었으나, 안과 검진도 받아보는 것이 어떠냐고 권유를 받았다. 김 씨는 집 주변 안과에서 검사를 받은 결과, 오른쪽 눈에 녹내장이 발생했다고 진단받았다. 이미 중기 이상 진행되어 시야가 많은 부분 상실된 상태였고, 그로 인해 최근에 겪은 증세가 발생했었다는 충격적인 결과를 듣게 된 것이다.
이렇듯 최근 녹내장이 중장년층의 눈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.
평소 건강관리에 적극적인 중년이라도 눈까지 신경을 쓰기란 쉽지 않다. 김 씨 역시 매년 직장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있었기에 건강에는 자신이 있었던 터라 이러한 결과가 더욱더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. 녹내장은 간단한 안저검사를 통해 진단받을 수 있으나, 직장 검진에서는 필수 검사가 아니었고 평소 안과를 특별히 방문할 이유도 없었기에 녹내장이라는 병에 대해서 알 기회도 없었다. 많은 사람이 녹내장을 안압이 올라서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지만, 의학적으로는 안압 상승 이외에도 시신경 주위의 혈류 장애, 환경적 요인, 스트레스,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시신경이 서서히 손상되고 시야 결손이 진행되다가 결국 실명에 이르는 만성질환으로 분류한다. 따라서 녹내장은 한 번 발병하면 계속 진행되는 특성이 있고 완치가 매우 어려워 꾸준한 관리와 치료가 꼭 필요하다.
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평균 수명 연장 및 고령 인구 증가 그리고 진단 기술의 발전에 의해 최근 11년간 녹내장 유병률은 1.6%에서 3.4%로, 발생률은 1.2%에서 1.8%로 증가하는 추세이다. 또한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녹내장으로 인해 이미 시신경 손상이 진행되고 있지만, 본인이 녹내장인 것을 몰라 치료받지 못한 환자가 전체 환자의 74%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. 이렇게 방치된 녹내장 환자들이 조속하게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빠른 녹내장 진단이 중요하다. 그러나 과거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4명 중 1명만이 지난 1년간 안과 검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더더욱 초기 증상이 없어 안과 검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대다수의 녹내장 환자들은 끝내 진단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.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 건강검진인데 고가의 개별 건강검진에는 안저검사가 필수 항목이지만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건강검진에는 아직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.
|